공사 유형 정하기
어느 정도 계획이 정해졌으면 인테리어 공사를 어떻게 진행할 지 선택을 해야 한다. 나는 시간이 없어서 턴키 업체로 인테리어를 했지만, 턴키만이 유일한 선택지는 아니다. 인테리어 공사에는 크게 3가지 유형이 있다.
유형 | 특징 | 장점 | 단점 |
턴키 | 업체에 공정과 일정 관리를 맡기는 것 | A/S가 잘 된다, 신경 쓸 것이 적다, 공사 기간이 짧다 | 비용이 많이 든다, 원하지 않는 결과물이 나올 수도 있다 |
직영 | 전문가들을 따로 섭외하여 공정을 맡기되, 일정을 직접 관리하는 것 | 비용이 비교적 저렴하다, 일정을 자유롭게 관리할 수 있다, 공정 별로 최고의 전문가를 섭외할 수 있다 | A/S가 비교적 어렵다, 공정에 문제 발생 시 뒷 공정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셀프 | 공정을 직접 하는 것 | 비용이 가장 적게 든다 | 신경 쓸 것이 많다, A/S를 스스로 해야 한다, 공사 시간이 오래 걸린다 |
시간이 넉넉했다면 직영으로 해볼 만 했지만, 괜히 문제 생기면 골치아파지기 때문에 턴키로 진행하기로 했다. 셀프로 할 꺼면 이케아를 추천한다. 시스템이 잘 되어있다.
업체 찾기
인테리어 업체는 정말 곳곳에 있다. 아파트 단지 내 상가에도 있고, 길을 걷다 보면 심심찮게 보이는게 인테리어 업체다. 규모가 작은 업체부터 대기업 프랜차이즈까지 다양하다.
나는 한*, L* **시스 등 대기업 프랜차이즈부터 동네 인테리어 업체, 단지 내 상가 업체 등 여러 군데를 가봤다. 아파트 입주민 단톡방에서 추천받기도 하고, 인스타와 블로그 등을 검색하여 가까운 지역의 인테리어 업체를 찾았다. 여러 군데를 돌아다녀 보니 확실히 장단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업체별 특징
(별파리의 경험을 토대로 한 매우 주관적인 특징입니다!) 모든건 케바케다!
장점 | 단점 | |
아파트 단지 내 상가에 입점한 업체 | 아파트의 구조에 대해 잘 안다, 가까워서 자주 상담이 가능하다, 대기업에 비해 저렴하다 | 업체마다 케바케다, 요즘 트렌드를 잘 못따라가는 경향이 있다(아파트 단톡방에 꼭 후기를 물어보자!), 오래된 업체는 사기 위험이 적다 |
동네 중소규모 업체 | 사기 업체를 조심하자 | |
유튜브나 블로그 등 홍보 활동을 하는 중소규모 업체 | 요즘 트렌드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있다, 대기업에 비해 저렴하다, 가까워서 자주 상담이 가능하다 | 트렌드에 대해 경험치가 적은 업체는 퀄리티가 낮을 수 있거나 가격이 매우 비싸다, 사기 업체를 조심하자 |
대기업 프랜차이즈 | 친절하고, 쇼룸이 잘 되어 있다, 인테리어 공정이 시스템화 되어 있어서 공사 기간이 짧고 체계적이다, 대기업이라 그런지 트렌드를 따라가려고 하는 편이다, 사기 위험이 적다 | 죄다 비싸다, 다른 업체의 자재를 고르기 어렵다(업체와 연계한 곳의 자재를 골라야 함), 대기업 직영 공사가 아닌 경우에 A/S에 대해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
직접 상담다녀본 후기
우리 아파트 단지 내 상가는 단톡방에서 심심하면 욕하는 글이 올라오는 곳이라 바로 걸렀다.
대기업 프랜차이즈는 무몰딩, 9mm 문선과 같은 나의 요구사항을 모두 해줄 수 있다고 했지만 가격이 내 예산을 아득히 초과했다... ㄷㄷ 그래서 포기했다. 그런데 정말 정말 친절하긴 했다, 쇼룸 구경하는 재미도 있다. 돈 드는거 아니니 한 번은 가서 상담을 받아보자.
나는 유튜브나 블로그, 인스타 등을 뒤져서 집 근처에 있는 인테리어 업체들을 열심히 찾아내었다(나는 경기도에서 인구가 100만이 넘는 도시에 살고, 주변에 신도시도 많아서 인테리어 업체는 많은 편이었다!). 그 중에서 포트폴리오와 후기가 괜찮은 업체들을 골라서 상담을 받았다. 이러한 업체들은 정말 견적도, 가격도 제각각이라 상담을 최대한 많이 받아보는 것을 추천한다.
업체 계약하기
가견적 받기
인터넷에서 열심히 찾다가 내 마음에 드는 포트폴리오를 발견했는데, 놀랍게도 집에서 5분 거리였다! 자주 지나다니는 길이었는데 그 쪽에 인테리어 업체가 있었는지도 몰랐다;; 기쁜 마음으로 바로 전화하니 상담이 가능하다고 해서 상담을 진행했다.
젊은 사장님이었는데 상담을 2시간 넘게 자세하게 해주셨다. 내가 원하는 것들을 웬만큼 다 해줄 수 있다고 했고, 힘든 것들은 합리적인 이유로 설명해주셨다. 심지어 비용도 다른 업체들에 비해 저렴한 편이었다(특히 대기업보다 천만원 이상 저렴했다).
이틀 뒤, 가견적서를 보내 주셨는데 가견적임에도 불구하고 견적이 상세하게 적혀있었다.
상담과 가견적, 포트폴리오도 마음에 들었고 심지어 집에서 가까웠기에 계약을 진행했다. 원래 계약은 실측하고 상세 견적 이후에 진행하는 것이 좋다. 계약금을 이미 납부했는데 "실측을 해보니 비용이 천만원이 더 나오겠더라" 와 같은 상황이 나오면 안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소 규모의 인테리어 업체는 3d 모델링은 커녕 상세 견적을 짜 줄만한 여유가 안 되는 곳이 많다.
계약하기
언제나 그렇듯 계약은 신중해야 한다. 독소 조항이나 누락한 부분은 없는지 잘 검토하고 계약하자. 아래는 계약 시 확인하면 좋을 목록이다.
1. 사업자등록증 확인 및 사본 받아두기 - 사업자등록하지 않고 공사하는 곳도 있으니 사기 조심!
2. 계약서에 착공일과 공사완료일 명시
3. 지체보상금 명시
4. 지급 방식과 지급일(계약금, 중도금, 잔금 등), 지급액을 정확히 명시
5. 세금계산서 발행에 대해 논의하기
6. 공사자재 내역서
7. A/S 기간 명시
8. 계약 해지 사유와 위약금에 대해 명시
9. 공사 대상(장소) 명시
상세 견적 받기
실측하기
상세 견적을 내려면 실측을 해야 한다. 실측은 사실 별 것 없다. 인테리어 공사 비용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창호(Chassis)의 크기와 붙박이장의 크기 정도를 측정한다. 그 밖에 공사에 필요한 여러 부분을 측정한다.
아직 사람이 살고 있는 집이라면 여러 번 방문하기 어려울 수 있으니 잘 협의하여 필요한 것을 한 번에 다 실측할 수 있도록 하자. 예를 들어 가구를 구매할 계획이 있다거나 빌트인 가전을 생각 중이라면 이 참에 미리 다 실측하자.
올바른 견적서
실측한 내용으로 상담을 진행하여 상세 견적을 요청하자. 견적서에서는 조심해야 할 부분이 있다. 아래 부분을 잘 지켰는 지 확인하자.
1. 공정에 따라 상세 견적을 작성했는지 확인하기 | 철거, 창호, 전기 공사, 도배, 목공 등 공정에 따라 상세 견적이 나와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
2. 인건비와 자재비를 따로 명시했는지 확인하기 | 상세 견적을 식 단위로 작성하면 정확한 비용을 알기 어렵다. 가령 도배 공정에서 "도배 1식" 이라고만 표기해 둔다면, 도배지 원자재 값은 얼마인지 인건비는 얼마인지 알기 어려워서 정확한 비용을 산정할 수 없다 |
3. 기타 경비, 이윤, VAT(세금)를 따로 표기했는지 확인하기 | 부가세 10%를 포함한 금액인지, 이윤을 포함한 금액인지, 경비는 제대로 나와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대여료 라던가, 공사 동의서 대행 비용과 같은 것을 포함했는지 확인해야 한다 |
4. 이상 항목이 있는지 확인하기 | 필요하지 않은 자재비가 청구되어 있거나, 계획한 내용 중에 빠진 부분이 없는지 확인하자 |
위 사진은 내가 직접 받은 상세 견적의 첫 페이지다. 보면 공정별 공사 내용과 금액이 표기되어 있다. 또한 이윤과 VAT에 대해서도 표기되어 있다.
상세 견적을 보면 자재와 시공비가 따로 표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가격이 비싸고 안 비싸고는 그 뒤에 판단할 문제!
상세 항목의 가격 비교
사실 비전문가 입장에서는 해당 자재나 인건비가 적절한 것인지 확인하기 어렵다. 이래서 여러 군데 상담을 받아봐야 한다. 가견적서를 토대로 각 항목별 가격을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 지인들이 인테리어를 하기 시작해서 나에게 견적서를 보여준 적이 몇 번 있다. 엉망인 부분이 많았고, 가격이 엄청 비쌌다. 같은 항목에 대해 교묘하게 이중으로 대금을 받는 곳도 있었다(예를 들면 이미 가격이 정해져 있는 공산품인 마루 값을 인건비가 포함된 가격으로 비싸게 책정했는데, 인건비는 또 따로 받고, 보험료, 식대도 또 따로 받았다!). 그러니 잘 확인해보자!
마무리
여기까지 하면 계약과 상세 견적까지 끝났다. 남은 것은 가장 오래 걸리고, 힘들고, 신경 쓸 부분이 많은 공사 부분이다. 민원도 많고, 예상치 못한 일은 항상 벌어진다.
그건 다음 편에 소개!
궁금한 점 있으시면 댓글로 달아주세요! :)
'인테리어 > 인테리어 여정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구축 24평 아파트 인테리어 완성 (홈스타일링, 민원 후기) (6) | 2022.09.03 |
---|---|
4. 구축 24평 아파트 인테리어 공사하기 (철거부터 청소, 하자 보수까지) (2) | 2022.09.02 |
2. 구축 24평 아파트 인테리어 계획하기 (평면도 계획, 3d 모델링, 예산) (0) | 2022.08.14 |
1. 구축 24평 아파트 인테리어 시작하기 (컨셉 정하기 팁) (0) | 2022.08.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