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은 안전 자산/내 맘대로 종목 분석

인텔(INTC) 파운드리 현황 및 루머 정리

별파리 2024. 9. 6. 15:20
반응형

파운드리 현황

인텔 18A 웨이퍼 (출처: 인텔)

 

최근 루나레이크 발표 이후, IFS(인텔 파운드리 서비스) 관련 다양한 뉴스들과 루머가 나오면서, 시장을 혼란스럽게 하고있다. 귀찮아서 안 쓰려고 했는데, 알려진 몇 개의 루머들과 함께 나의 생각을 정리해보겠다.

 

 

인텔 파운드리 사업부 매각설?

결론부터 말하자면 아직 사실이 아니다. 어떤 뉴스에서는 이미 인텔이 파운드리 사업에 실패하여, 파운드리 사업을 매각하기로 결정한 것처럼 기사를 썼는데, 제대로 알아보지도 않고 기사를 쓴 것 같다.

 

물론, 인텔이 파운드리를 매각할 가능성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인텔은 18A 공정을 잘 진행하고 있다고 한다. 대신 알테라(FPGA 사업부)를 매각하거나, 독일 팹 건설을 취소할 수도 있을 것으로도 보인다.

 

자세한 것은, 팻 겔싱어가 9월 중순에 관련 구조조정안을 이사회에 제출할 예정이라고 한다.

 

 

인텔 20A 실패설?

인텔이 코어 울트라 2세대 애로우레이크를 Intel 20A와 TSMC N3B로 나누어 제조할 예정이었는데, 전량 TSMC N3B로 제조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많은 커뮤니티에서는 Intel 20A 공정이 결국 수율 부족으로 실패한 것이 아니냐는 우려를 표하고 있으며, 이미 각종 매체에서는 20A 공정이 실패한 것 처럼 기정사실화 하고 있다.

 

하지만 나의 생각은 다르다. 나는 20A 공정을 실패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인텔이 좀 더 영리한 전략을 취했다고 생각한다.

(여기서부터는 주관적인 생각이 들어가있음)

 

 

Intel 20A는 수명이 짧다

팻 겔싱어의 5N4Y에 따르면, 인텔은 Intel 18A 공정을 24년 말에 완료하는 것으로 돼있다. 현재 Intel 3까지 완료한 상태이며, Intel 20A가 다음 공정인데, 원래는 애로우레이크의 엔트리급 칩셋을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졌었다. 그런데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Intel 18A는 Intel 20A의 개선 버전이다.

 

※ 공정 이름 규칙

공정의 숫자는 일반적으로 무어의 법칙을 따라서 대략 70%로 줄어든다. 그래야 면적이 0.7 x 0.7 = 0.49로 50%씩 줄어들기 때문이다.

14nm -> 10nm -> 7nm -> 5nm -> (4nm -> 3nm) -> 2nm -> 1.4nm

Intel 20A 다음에는 Intel 14A지만, 다음 버전인 Intel 18A의 숫자를 생각해보면 20A의 개선버전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여튼, Intel 18A는 2025년에 본격적으로 양산할 공정이며, 파운드리 수주 잔고도 잔뜩 쌓여있고, 인텔의 펜서레이크와 클리어워터포레스트도 18A로 생산할 예정이다. 14A는 2027년으로 계획이 잡혀있다. 즉, Intel 20A는 잠깐만 쓰고 넘어가버릴 공정이며, 18A는 오랫동안 쓸 공정이라는 것이다.

 

인텔은 Intel 18A에 좀 더 힘을 집중하기 위해서, Intel 20A로 생산할 예정이었던 애로우레이크를 전량 TSMC에 아웃소싱하기로 결정했다고 한다.

 

 

Intel 18A 시작 수율은 준수한 편

https://www.intel.com/content/www/us/en/newsroom/opinion/continued-momentum-intel-18a.html?s=31#gs.epxihl

 

Continued Momentum for Intel 18A

Progress on lead product designs and process readiness is enabling us to bridge from Intel 20A earlier than we’d planned.

www.intel.com

 

인텔이 얼마전에 Intel 18A 공정 진행상황에 관련하여 발표를 한 적이 있는데, 잘 진행중이라고 한다. Intel 18A 공정의 핵심은 바로 RibbonFET(GAA)과 PowerVia(웨이퍼후면전력공급)인데, 이 두개를 모두 적용한 채로 D0<0.4를 달성했다고 한다. D0를 불량의 정도라고 생각하면 좋다.

 

TSMC D0

 

TSMC도 10nm와 7nm와 5nm 공정의 초창기에 D0가 0.4 내외였고, 점차 개선했던 것을 생각해보면, 현재 인텔의 18A D0<0.4는 상당히 준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지속적인 개선이 관건이다. 아직 24년 3분기가 끝나지도 않은 시점이고, 18A 양산은 25년이기 때문에 충분히 개선할수 있으리라 믿는다!

 

* 추가 참고 자료

https://www.tomshardware.com/tech-industry/intel-says-defect-density-at-18a-is-healthy-potential-clients-are-lining-up

 

Intel says defect density at 18A is 'healthy,' potential clients are lining up

Defect density of Intel's 18A seems to be competitive.

www.tomshardware.com

 

 

Intel 18A가 예상보다 잘 진행중이다

Ryan Shrout 트위터

 

Ryan Shrout는 인텔에서 일했던 사람인데, 이 사람의 말에 따르면, 18A 공정이 예상(expected)보다 잘 진행중이라, 20A를 건너뛰고 18A로 간다고 한다. 이 사람이 인텔 관계자들과 이야기해보았을 때의 핵심 내용도, "짧은 20A 수명"과 "비용 절감"이다. 

 

https://zdnet.co.kr/view/?no=20240905122552

 

인텔, 2나노 양산 백지화..."1.8나노 공정에 집중"

인텔이 오는 4분기부터 가동 예정이었던 인텔 20A(2나노급) 공정 양산 대신 내년부터 가동될 인텔 18A(1.8나노급) 공정에 집중하기로 했다. 인텔은 4일(미국 현지시간) 벤 셀(Ben Sell) 인텔 기술개발

zdnet.co.kr

 

 

비용 절감

https://www.tomshardware.com/pc-components/cpus/intel-announces-cancellation-of-20a-process-node-for-arrow-lake-goes-with-external-nodes-instead-likely-tsmc

 

Intel announces cancellation of 20A process node for Arrow Lake, goes with external nodes instead, likely TSMC [Updated]

Out with the Intel node, in with TSMC.

www.tomshardware.com

 

인텔이 Intel 20A 공정을 건너뛰면서 약 5억 달러 정도를 절감할 수 있다고 한다. 어차피 잠깐 사용할 공정이라면, 빨리 18A에 집중하고 돈도 아끼는 것이 나은 선택으로 보인다.

 

 

브로드컴 테스트 실패?

https://www.mk.co.kr/news/world/11110800

 

'비장의 무기' 뽑지도 못한 인텔 - 매일경제

1.8나노 공정 테스트 실패야심찬 파운드리 사업 난항대규모 구조조정 이어 악재

www.mk.co.kr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인텔의 18A 공정이 브로드컴의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해서 실패했다고 한다. 하지만 여기서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 있다. 원래 인텔의 18A 공정은 25년도에 양산할 예정이었고, 지금은 위에서 언급했다시피 초기 단계(D0<0.4)이다. 수율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좋아질 것이며(좋아져야만 함), 그에 따라서 점점 대량 양산이 가능한 수준을 얻는 것이다.

 

로이터통신 기사 발췌

 

기사를 보면, "The company concluded the manufactureing process is not yet viable to move to high-volume production"으로 나와있다. 해석하자면, "브로드컴은, 아직 대량 생산하기는 어렵다는 결론을 내렸다."인데, "아직" 이라는 단어와 "대량 생산"이라는 단어에 집중해야 한다. 아직 대량 생산이 어렵다는 소리는, 소량 생산은 가능하다는 뜻이고, 수율 개선 여하에 따라 얼마든지 가능해질 수도 있는 부분이다. 즉, 단순히 물거품이라는 소리는 아니라는 것이다.

 

 

결론

파운드리 관련 이슈를 정리해보았다.

 

적어도 내가 생각하기에는, Intel 18A 공정은 잘 진행중인 것 같지만, 방심할 수 없다. 수율의 개선에 실패할 수도 있고, 수주 잔고가 없어질 수도 있으며, (인텔이 그동안 밥먹듯이 했던) 양산 연기를 할 수도 있다. 인텔 파운드리에게 남은 숙제는 다음과 같다.

 

1. 18A의 성공(수율 개선 및 정시 출시 포함)

2. 더 많은 파운드리 수주

3. 팹 건설 성공

4. 보조금 수령

 

이번 루나레이크가 잘 나와서 그나마 좀 안심이다. 물론 실제 제품이 나와봐야 제대로 벤치마크를 할 수 있겠지만, 내 생각엔 정말 잘 나온 것 같다. 애로우레이크도 잘 나올 것 같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