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년 8월 머크(MRK) 폭락이 매수의 기회일까?!
8월 머크 폭락
8월 초에 머크 주가가 폭락했다. 이유를 찾아보니 중국에서 머크의 주력 제품 중 하나인 가다실의 24년 2분기 출하량이 줄었다는 것이다.
https://www.kpanews.co.kr/article/show.asp?page=7&idx=252418
머크 가다실 출하량 감소하며 주가도 10% 하락 | 약사공론
머크(Merck)는 2분기 중국 내 공급업체에 대한 가다실 백신 출하량이 “크게 감소했다”고 밝힌 후 화요일 주가가 거의 10% 하락했다.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개발된 가다실은 블
www.kpanews.co.kr
https://www.medisobiza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8408
中 정부가 ‘가다실’ 판매 걸림돌? … MSD, 말 아끼며 사태 파악 - 메디소비자뉴스
MSD(머크)가 개발한 인유두종바이러스(HPV) 백신 ‘가다실’의 중국 매출이 줄어들자 중국 정부의 반 뇌물ㆍ부패 정책이 원인일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와 주목을 끌고 있다.MSD는 2분기 실적 발표에
www.medisobizanews.com
음? 가다실이 아무리 중요 매출군 중 하나라지만, 주가를 128에서 114까지 10% 이상 빠질만한걸까?
머크의 매출
위 21~23년 표에서 좀 의아한 점은, Keytruda부터 Vaxnevance까지 다 더하면 46494인데, Pharmaceutical의 53583이란 숫자는 어디서 튀어나온건지 모르겠다.
여튼, 위 표에서 주요 의약품 매출군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Sales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연평균성장률 | |
KEYTRUDA | 7171 | 11084 | 14380 | 17186 | 20937 | 25011 | 23.147% |
GARDASIL/GARDASIL 9 | 3151 | 3737 | 3938 | 5673 | 6897 | 8886 | 18.862% |
JANUVIA/JANUMET | 5914 | 5524 | 5276 | 5288 | 4513 | 3366 | -8.966% |
PROQUAD, M-M-R II and VARIVAX | 1798 | 2275 | 1878 | 2135 | 2241 | 2368 | 4.696% |
BRIDION | 917 | 1131 | 1198 | 1532 | 1685 | 1842 | 12.328% |
LAGEVRIO | 0 | 0 | 0 | 952 | 5550 | 1428 | N/A |
LYNPARZA | 187 | 444 | 725 | 989 | 1116 | 1199 | 36.300% |
LENVIMA | 149 | 404 | 580 | 704 | 876 | 960 | 36.410% |
ROTATEQ | 728 | 791 | 797 | 807 | 783 | 769 | 0.917% |
VAXNEUVANCE | 0 | 0 | 0 | 3 | 170 | 665 | N/A |
Animal Health | 4212 | 4292 | 4703 | 5568 | 5550 | 5625 | 4.940% |
기타 | 18067 | 17158 | 14519 | 7867 | 8965 | 7996 | -12.703% |
합계 | 42294 | 46840 | 47994 | 48704 | 59283 | 60115 |
1. LAGEVRIO와 LYNPARZA는 머크의 파트너사 중 머크의 지분만큼 매출을 환산한 것이다.
2. 매출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키트루다이다. 가다실이 그 다음으로 차지하고 있다. 인간을 대상으로 한 의약품과 백신이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머크는 특히 키트루다의 성장에 힘입어 엄청난 이득을 보고있다.
3. LAGEVRIO는 먹는 코로나 치료제로, 코로나 특수로 반짝 이득을 보고 많이 감소하였다.
4. 기타 매출의 비중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24년도 예측
2024 | |||
1Q | 2Q | June YTD | |
TOTAL SALES (1) | $15,775 | $16,112 | $31,887 |
PHARMACEUTICAL | 14,408 | 28,415 | |
Oncology | |||
Keytruda | 6,947 | 7,270 | 14,217 |
Alliance Revenue – Lynparza (2) | 292 | 317 | 609 |
Alliance Revenue – Lenvima (2) | 255 | 249 | 504 |
Welireg | 85 | 126 | 211 |
Alliance Revenue – Reblozyl (3) | 71 | 90 | 161 |
Vaccines (4) | |||
Gardasil/Gardasil 9 | 2,249 | 2,478 | 4,727 |
ProQuad/M-M-R II/Varivax | 570 | 617 | 1,187 |
Vaxneuvance | 219 | 189 | 408 |
RotaTeq | 216 | 163 | 379 |
Pneumovax 23 | 61 | 59 | 120 |
Hospital Acute Care | |||
Bridion | 440 | 455 | 895 |
Prevymis | 174 | 188 | 362 |
Dificid | 73 | 92 | 165 |
Zerbaxa | 56 | 62 | 118 |
Noxafil | 56 | 45 | 101 |
Cardiovascular | |||
Alliance Revenue - Adempas/Verquvo (5) | 98 | 106 | 203 |
Adempas (6) | 70 | 72 | 142 |
Winrevair | 70 | 70 | |
Virology | |||
Lagevrio | 350 | 110 | 460 |
Isentress/Isentress HD | 111 | 89 | 200 |
Delstrigo | 56 | 60 | 116 |
Pifeltro | 42 | 39 | 81 |
Neuroscience | |||
Belsomra | 46 | 53 | 99 |
Immunology | |||
Simponi | 184 | 172 | 356 |
Remicade | 39 | 35 | 74 |
Diabetes (7) | |||
Januvia | 419 | 405 | 824 |
Janumet | 251 | 224 | 475 |
Other Pharmaceutical (8) | 576 | 573 | 1,151 |
ANIMAL HEALTH | 1,482 | 2,993 | |
Livestock | 850 | 837 | 1,686 |
Companion Animal | 661 | 645 | 1,307 |
Other Revenues (9) | 258 | 222 | 479 |
머크의 1, 2분기 매출은 위와 같다.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연평균성장률 | 2024년 예상 | |
KEYTRUDA | 7171 | 11084 | 14380 | 17186 | 20937 | 25011 | 23.147% | 30800 |
GARDASIL/GARDASIL 9 | 3151 | 3737 | 3938 | 5673 | 6897 | 8886 | 18.862% | 9454 |
JANUVIA/JANUMET | 5914 | 5524 | 5276 | 5288 | 4513 | 3366 | -8.966% | 2500 |
PROQUAD, M-M-R II and VARIVAX | 1798 | 2275 | 1878 | 2135 | 2241 | 2368 | 4.696% | 2479 |
BRIDION | 917 | 1131 | 1198 | 1532 | 1685 | 1842 | 12.328% | 2069 |
LAGEVRIO | 0 | 0 | 0 | 952 | 5550 | 1428 | N/A | 900 |
LYNPARZA | 187 | 444 | 725 | 989 | 1116 | 1199 | 36.300% | 1634 |
LENVIMA | 149 | 404 | 580 | 704 | 876 | 960 | 36.410% | 1310 |
ROTATEQ | 728 | 791 | 797 | 807 | 783 | 769 | 0.917% | 776 |
VAXNEUVANCE | 0 | 0 | 0 | 3 | 170 | 665 | N/A | 816 |
Animal Health | 4212 | 4292 | 4703 | 5568 | 5550 | 5625 | 4.940% | 5903 |
기타 | 18067 | 17158 | 14519 | 7867 | 8965 | 7996 | -12.703% | 6980 |
합계 | 42294 | 46840 | 47994 | 48704 | 59283 | 60115 | 65622 |
앞에서 구한 CAGR을 바탕으로 간단하게 매출을 예측해보자. 빨간색으로 표기한 부분은 CAGR이 아닌 머크의 24년도 1,2분기 보고서를 보고 따로 간단히 추론해본 것이다.
1. GARDASIL은 CAGR을 통해 추론하면 10562가 나오지만, 1,2분기 악화로 9454로 하향조정함
2. JANUVIA를 비롯한 당뇨약들은 판매 부진으로, CAGR을 통해 계산하면 3064가 나오지만 2500으로 하향조정함
3. LAGEVRIO는 CAGR을 적용하기 어려운 반짝 매출이기 때문에, 반기 실적을 통해 900으로 추측함
4. VAXNEUVANCE는 기간이 짧기 때문에, 반기 실적을 통해 816으로 추측함
이렇계 계산을 하면, 24년도 매출은 60115에서 65622로 대강 9.16% 오르는 것으로 나타난다. 물론 기타 매출이나 전반적인 내용을 CAGR로 추측한다는게 상당히 부정확할 수는 있지만, 대충 추세를 확인해볼 수 있다.
중간 결론
어쨌든 위 표를 통해 추측해보자면, 가다실의 재고악화는 머크의 주가를 10%씩이나 떨어뜨릴 정도로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 같다. 가다실의 성장이 잘 나와서 10562가 나와봤자, 전체적인 성장률에 아주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1. 가다실의 매출을 10562로 계산하는 경우
- 머크의 24년 예상 매출 성장률은 11%
2. 가다실의 매출을 9454로 계산하는 경우
- 머크의 24년 예상 매출 성장률은 9.15%
머크의 전망
주가
머크가 23년도 실적을 발표했던 2024년 2월 1일 머크의 주가는 어땠을까? 대충 122 ~ 132 언저리에서 놀고있다.
매출로 모든 것을 파악할 수 없지만, 어쨌든 매출로 비교를 해보자면 24년도에 9% 성장을 할 예정임에도 불구하고, 주가는 10% 내려갔다.
중간값 127에서 9.12%를 높이면 138.6 정도가 나온다.
인베스팅닷컴에서 볼수있는 애널리스트 목표 주가도 140.25라서, 내가 비교적 예측을 정확히 한 셈이다.
PER
머크는 잘나가는 다른 제약기업과 비교해도 PER이 높은 편인 것도 아니다. 즉, 크게 고평가도 아니란 소리다. 화이자는 음... 어려운 상황이다.
배당
머크는 배당도 잘 주고, 배당률도 준수하며, 배당 성장도 잘 하는 꽤 튼실한 기업이다. 개인적으로는 규모가 큰 기업 중 배당 성장률이 준수한 회사가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창출하는 회사라고 생각한다. 회사가 어렵다면 배당성장을 할 수는 없으니.
키트루다의 미친 성장세
https://www.pharm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39422
'키트루다' 지난해 글로벌 의약품 매출 1위 등극 - 팜뉴스
최고의 블럭버스터급 약물인 머크의 면역항암제 \'키트루다(Keytruda)\'의 지난해 매출이 250억 달러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나 2023년 글로벌 매출 1위를 등극할 것이 확실시 된다.머크는 키트루다의
www.pharmnews.com
암 치료제로 사용중인 키트루다는 미친 성장중이다. 내가 예전에 작성했던 머크 분석 글에서도 키트루다의 성장성이 좋을 것이라고 예언했었는데, 진짜 이렇게 좋을 줄이야. 키트루다는 다양한 적응증에서 암 치료제로 사용중이고, 그 범위를 점차 늘려가는 것 같다.
기사를 보면 "글로벌 투자회사 에드워드 존스의 의료 분석가 존 보일란은 올해 키트루다의 매출이 300억 달러에 이를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은 바 있다. 출처 : 팜뉴스(https://www.pharmnews.com)" 라고 적혀있는데, 정확히 나의 예측과 일치한다.
키트루다는 특허 만료도 몇 년 더 남았을 뿐더러, 선진국들의 고령화에 따라 인기있는 암 치료제인 키트루다는 더욱 성장해나갈 것이다.
아래는 추가로 찾아볼 것!! 인데 귀찮다...
1. 키트루다의 국가별 매출
2. 고령 환자들이 주로 걸리는 암과 치료제
3. 바이오시밀러 현황
4. 국가별 고령화 현황
결론
다양한 데이터를 살펴본 결과, 머크의 주가는 저평가인 상태며, 가다실 재고 증가는 대단한 악재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무엇보다 키트루다의 성장세가 어마어마하다.
지금부터 분할 매수해서 138쯤 분할 매도해볼까 싶다. 그러면 약 22% 정도 수익률이 나온다.
현재 주가: 약 113달러
목표 주가: 약 138달러 (25년 2월쯤? 운좋다면 3분기 실적 발표 후?)
오랜만에 주식 분석 끝!
※ 이 글은 투자 추천이 아니며, 별파리의 일기장과 같은 것입니다. 모든 투자의 책임은 개인에게 있습니다.